#2차원 배열의 선언 1차원 배열의 선언에서 대괄호[] 하나만 추가하면 2차원 배열을 선언할 수 있다. 2차원 배열 선언 방법 타입[][] 변수이름; 2차원 배열은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예시) int[][] ex = new int[4][3]; 위의 문장은 4행 3열의 데이터를 담는 배열을 생성한 것이다. 생성한 배열은 12개의 int값을 저장할 수 있다. 배열을 생성하면 배열 요소에 타입의 기본값이 자동적으로 저장된다.(int형의 기본값은 0이다.) #2차원 배열의 인덱스 2차원 배열은 행(row)과 열(cloumn)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과 열은 index에도 각각 한 개씩 존재한다. index의 범위 행 index의 범위 : '0 ~ 행의 길이 -1' 열 index의 범위 :..
#String배열의 선언과 생성 String배열은 여래 개의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이다. String배열 생성 예시) String [] name = new String[3]; 위의 문장은 3개의 문자열을 담을 수 있는 배열을 생성한 것이다. 참조형의 변수의 기본값은 null이다. 각 요소의 값은 null로 초기화된다. #String배열의 초기화 String배열의 초기화 방법은 int형 배열과 같다. 예시) String[] name = new String[]; //길이가 3인 String배열 name[0] = "Kim"; //요소에 문자열을 지정 name[1] = "Song;" name[2] = "Park"; 위의 문장을 괄호{}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초기화할 수 있다. String[] name = ..

#배열이란? 배열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룬 것이며, 각 저장공간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배열의 선언과 생성 배열 선언 원하는 타입의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 또는 타입에 배열임을 의미하는 대괄호[]를 붙이면 된다. 타입[] 변수 이름; 타입 변수 이름[]; 배열의 생성 배열을 선언한 다음에는 배열을 생성해야한다. 배열을 선언하는 것은 단지 생성된 배열을 다루기 위한 참조변수를 위한 공간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배열을 생성해야만 비로소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 지는 것이다. 배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연산자 'new'와 함께 배열의 타입과 길이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타입[] 변수이름; // 배열 선언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 배열 생성 배열의 선언과 생성을..

#break문 switch문을 배울 때 각 case문의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로 쓰였던 break문을 반복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switch문에서 그랬던 것처럼 자신이 포함된 가장 가까운 반복문을 벗어나며 주로 if문과 함께 사용되어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반복문을 벗어난다. break문 예제) public class ex4_break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um = 0; int i = 0; while(true) { if(sum > 100) break; ++i; sum += i; } //while문 끝 System.out.println("i = " + i); System.out.println("sum = " + sum); } } 위 예제는..

#반복문 – while문 while문은 조건식이 거짓이 될 때까지 블럭{} 내의 문장을 반복한다. whille문의 구조) while (조건식) { //조건식의 연산결과가 참인 동안 반복된다. } while문은 먼저 조건식을 평가해서 조건식이 거짓이면 문장 전체를 벗어나고, 참이면 블럭{} 내의 문장을 수행하고 다시 조건식으로 돌아간다. 조건식이 거짓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이 계속 반복된다. for문과 while문의 비교) * 1부터 10까지의 정수를 순서대로 출력하는 for문을 while문으로 변경 1.for문 for(int = i=1; i 1+2+3+4+5 =15) while문을 살펴보면 num은 어떤 수를 10으로 나누어 0이 될 때까지 반복된 수를 저장하는 변수이고, num에서 나온 각 자리의 수를 ..

for문 (반복 횟수를 알고 있을 때 사용) for (초기화;조건식;증감식) { // 조건식이 참일때 문장 수행 } for문의 수행 순서 제일 먼저 초기화가 수행되고, 조건식이 참인 경우'조건식 → 수행문장 → 증감식' 순서로 반복하다가 조건식이 거짓이 되면 for문 전체를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for문의 초기화,조건식,증감식이 모두 생략된 경우는 조건식으로 참으로 간주되오 무한 반복문이 된다. 무한반복문 예시) public class Ex4_8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1; //scope(범위) - 선언위치부터 선언된 블럭의 끝까지 //조건식을 생략하면, ture로 간주되어서 무한반복문이 됨 for(;true;) { // i = 1,..

switch문 switch문은 처리해야 하는 경우의 수가 많을 때 유용한 조건문이다. switch (조건식) { case 값1 : //조건식의 결과가 값1과 같은 경우 수행될 문장 break; case 값2 : //조건식의 결과가 값2와 같은 경우 수행될 문장 break; //switch문을 벗어난다. default //생략가능 // 조건식의 결과와 일차하는 case문이 없는 경우 수행될 문장 } switch문 수행 순서 ① 조건식(정수, 문자열)을 계산한다. ② 조건식의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으로 이동한다. ③ 이후 문장들을 수행. ④ break문, switch문의 끝을 만나면 switch문 전체를 빠져나간다. 만일, 조건식의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default문으로 이..

제어문이란? 프로그램의 흐름(flow)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문장들을 제어문이라고 한다. 제어문에는 조건문과 반복문이 있다.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다른 문장이 수행되도록 하고, 반복문은 특정 문장들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if문 if (조건식) { //조건식이 참(true) 일 때 수행될 문장들을 적는다. } if문은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으로 '조건식'과 '괄호{ }'로 이루어져 있다. if문은 조건식이 참(ture)이면 괄호 { } 안의 문장들을 수행하게 된다. 예시) public class Ex4_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80; if (score > 60) { //조건식이 참(true)이므로 괄호{}안의 문장이 실행된다. Sy..
- Total
- Today
- Yesterday
- 조건문 if
- java의 정석기초
- JAVA 의 정석
- 코테
- 두 수의 나눗셈
- MySQL
- java의정석 기초
- 객체 배열
- Java
- 생활코딩
- 호출스택
- return문
- JAVA의 정석
- 클래스와 객체
- 객체의 구성요소
- 2차배열 예제
- 기본형/참조형 매개변수
- Lv.0
- 매개변수가 있는 생성자
- 자바의 정석
- 객체지향
- 인스턴스 메서드
- do-while문
- 프로글개머스 `
- 객체지향 언어
- SQL
- 프로그래머스
- 기본 생성자
- string 배열
- 메서드 간의 호출과 참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