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LECT 명령문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는 데 사용된다. ☑️ 전체 데이터 조회하기모든 데이터를 조회하려면 ‘SELECT *’ 구문을 사용한다.SELECT * FROM 테이블명;‘*’을 사용하면 테이블의 모든 열과 행을 조회할 수 있다.☑️ 특정 Column 값만 읽어오기특정 컬럼만 조회하려면, 조회하고자 하는 컬럼을 명시해야 한다.SELECT column1, column2, column3 FROM 테이블명;‘SELECT’ 뒤에 필요한 컬럼을 나열하여 원하는 데이터만 조회할 수 있다.☑️ 특정 Row 값만 읽어오기 (Where절)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만 조회하려면 ‘WHERE’ 절을 사용한다.SELECT column1, column2,....FROM 테이블명WHERE 조건; 예를 들어..

DB 테이블에 데이터 추가하는 방법1. DB 리스트 확인하기 먼저, 현재 MySQL 서버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목록을 확인한다.SHOW DATABASES;2, 사용하고자 하는 DB로 변경데이터를 추가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로 변경한다.USE 데이터베이스명; 3.DB 속 테이블 확인선택한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테이블 목록을 확인한다.SHOW TABLES; 4. INSERT 명령어로 데이터 추가하기이제 ‘INSERT’ 명령어를 사용하여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4.1 INSERT INTO Syntax특정 컬럼에만 값을 추가한다.INSERT INTO table_name (column1, column2, column3, ...)VALUES (value1, value2, valu..

MySQL란?MySQL은 널리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다.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데이터를 표 형태로 정리할 수 있고 정렬, 검색과 같은 작업을 빠르고 편리하게, 안전하게 할 수 있다.MySQL은 무료 오픈소스이다.DB의 목적MySQL과 같은 RDBMS는 데이터를 표의 형식으로 정리한다.DB는 컴퓨터 언어(SQL)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다중 시스템으로 여러 사용자가 들어갈 수 있다.MySQL 구조모든 정보는 표에 저장된다.DB는 표가 많아질 경우, 표를 정리해서 그룹화한 것을 말한다.schema 안에는 표들이 있다.schema(=database)는 서로 연관된 데이터를 그룹핑한 것이다.database server는 여러 개의 schema를 관리할 수 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do-while문
- 객체지향
- SQL
- 프로글개머스 `
- JAVA의 정석
- 코테
- 프로그래머스
- java의 정석기초
- 객체 배열
- return문
- Java
- 두 수의 나눗셈
- 생활코딩
- 인스턴스 메서드
- Lv.0
- MySQL
- 객체지향 언어
- 클래스와 객체
- 호출스택
- java의정석 기초
- 기본형/참조형 매개변수
- string 배열
- 2차배열 예제
- 객체의 구성요소
- 메서드 간의 호출과 참조
- JAVA 의 정석
- 기본 생성자
- 조건문 if
- 매개변수가 있는 생성자
- 자바의 정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