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변수란?

→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값을 담을 그릇(저장공간)이 필요한데, 그 공간을 변수(variable)이라고 한다.

 

2.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한다. 변수를 선언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변수타입 변수이름;  // 변수를 선언하는 방식

변수의 타입은 변수에 저장할 값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변수의 이름은 저장공간이 서로 구별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정수(integer)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다면 다음과 같이 변수를 선언하면 된다. 

int x; //정수(integer)를 저장하기 위하 변수 x를 선언

위의 문장은 x라는 이름의 변수가 선언된 것이다.  그리고 x라는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x = 5; // 변수 x에 5를 저장

대입 연산자 '='를 이용하여 x의 값에 5를 저장한다. 

대입 연산자는 오른쪽 값을 왼쪽에 저장하라는 의미이다. 

 

x = 10; // 변수 x에 10을 저장, 기존의 값은 지워진다.

그리고 변수는 '오직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값이 저장된 변수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은 지워지고 새로운 저장 값만 남는다. 

 

public class Ex2_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x = 5; //int x;와 x = 5;를 이처럼 한 줄로 합칠 수 있다.
		System.out.println(x); // 화면에 x의 값인 5가 출력된다.
		
		x = 10;// 변수 x에 10을 저장.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5는 지워진다.
		System.out.println(x);// 화면에 x의 값인 10이 출력된다.
	}

}
반응형

'개발 공부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연산자  (0) 2021.11.22
[Java] 타입 간의 변환 방법  (0) 2021.11.16
[Java] 기본형과 참조형  (0) 2021.11.16
[Java] 상수와 리터럴  (0) 2021.11.16
[Java] 두 변수의 값 바꾸기  (0) 2021.11.16